소셜미디어는 정보탐색의 초점형성을 지원하는 도구. 이미지출처 : http://debrahelwig.files.wordpress.com/2010/09/focus.jpg
정보탐색과정론 (테롤 클싸우 지음, 김효정 옮김, 한국디지틀포럼, 2000)
1. 동기
① 정보탐색의 과정을 밝히기 위한 이론 정립.
② 이론이란? "한 번에 포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실을 함께 묶을 수 있는 방법" 이며 " 인간생활의 실제 행위에 대한 근거를 제공한다." - 조지 켈리
③ 이론은 실무자가 단순히 예감이나 직감에 의존하지 않고 일반적인 원리를 통해 실무에 접근 할 수 있도록 한다. 이론에 근거한 경험은 역동적인 이용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서비스의 설계와 합리적인 진단에 있어서 기본적인 요소이다.
2. 정보탐색 3단계
① 정의적영역(감정)
② 인지적영역(사고)
③ 물리적영역(행동)
3. 정보탐색과정 6단계
① 탐색착수(initiation) : 정보요구의 인식
② 논제선정(selection) : 찾고자 하는 포괄적인 논제 확인 및 선택
③ 탐색조사(exploration) : 자신의 이해를 확장하기 위해서 포괄적으로 논제에 대한 정보를 파악
④ 초점형성(formulation) : 파악한 정보로부터 구체적인 논제의 관점에 초점을 맞춤
⑤ 정보수집(collection) : 구체적인 논제와 관련된 정보 획득
n 적합성 적절성을 기준으로 필터링.
⑥ 정보표현(presentation): 정보탐색을 완료하고 결과물 이용 및 제시 준비
4. 공적 지식과 사적 무지,윌슨 1977
① 인간은 세상사에 대한 내적 모델의 최신성을 유지하기 위한 일련의 습관과 경로를 갖고 있으며, 내적 모델을 확대 혹은 확장하기 위해서 공적지식을 이용한다.(p.36)
5. 정보서비스 패러다임
① 서지적 패러다임
n 정보 자료원의 소장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주요 목적(물리적 접근)
n 확실성과 정돈을 강조
n 측정된 특정 질의문에 대한 응답과 단순 사실에 한정하며, 정확한 재현율의 측정에 바탕을 둠.
② 구성과정 패러다임
n 정보자료원 내의 포함된 지식과 정보의 의미 해석에 역점을 둠.(지적 접근)
n 불확실성과 정신적 혼란을 강조.
n 이미 알고 있는 정보와 매칭 시키는 과정, 이미 알고 있는 지식을 새로운 관점으로 확장하는 과정을 포함.
6. 개인구성이론(personal construct theory)
① 켈리(Kelley, 1963)
② 새로운 정보는 기존의 구성 체계에 맞도록 재구성 되어야 한다. 세상사에 대한 우리의 견해는 새로운 경험에 의해 끊임없이 재구성된다. 이 과정은 기존의 구성체계와 새로운 정보간에 존재하는 모순과 불일치로 인하여 증대되는 불확실성으로부터 출발한다.
③ 인간은 환경에 보다 잘 적응하고 행동의 근거가 되는 자신의 예측 과정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자신의 구성체계를 조정한다. "세상에 대한 현재의 견해는 지속적으로 수정된다."
7. 정보에 대한 관점
① 전통적 : 올바른 해답과 적합한 자료를 도출해 낼 수 있는 사물이나 결과물로 인식.
② 구성주의 : 학습하거나 구성체계를 변화시키는 것.
8. 정보탐색의 인지과정
① 정보요구
n 정의: 부족한 것에 대한 막연한 인식으로부터 발전한 것. 혹은 이해와 의미구성에 도움이 되는 정보에 도달하려는 것.
n 정보요구수준, 테일러
잠재적 수준(visceral): 실재하지만 표현되지 않은 요구.
의식적 수준(conscious) : 막연하게 머릿속에 표상된 요구.
형식적 수준(formalized) : 구체적인 용어로 진술된 요구.
타협적 수준(compromised) : 정보시스템에 표현된 요구.
n 탐색의 초기단계에서 대부분의 이용자는 자신의 기존 지식과 연계된 질문의 형식으로 정보요구를 표현하고 있음을 밝힘. 정보요구 수준의 마지막 단계에서 기존 지식과의 격차를 확인한 후에야 정보시스템의 명령어 형식으로 정보요구를 표현할 수 있다는 것.
n 탐색과정은 정신적 활동, 물리적 활동 그리고 궁극적으로 이용자가 의미구성을 위해 시행하는 개념적인 활동이 유기적으로 조합된 과정이라 할 수 있다.
9. 정보탐색의 감정적 경험
① 탐색요구의 초점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불안감을 느낌.
10. 정보탐색의 인지부조화
① 이용자들은 정보탐구의 기능에 대해서 기본적으로 잘 못된 인식을 하고 있으며, 검토해야 할 증거물을 찾는 것이 아니라 '문제에 대한 해답' 을 찾고 있다- 패트리샤 나프
② 이용자들은 인지, 점검, 조사, 초점 형성과 같은 보다 탐구적인 과업을 초월하여 모든 단계에서 "수집(gathering) 과 완성(completing)" 이라는 과업만을 선택하고 있으며, 이는 탐색조사 및 초점형성 단게 없이 직접 수집단계로 넘어갈 수 잇는 논제를 선택한 후에 이용자의 기대치에 의존하는 방법이다.
③ 정보 탐색의 각 단계를 "포괄적인 사고, 반성적인 사고 및 학습"으로 인식하기 보다는 "시간 지연의 요인"과 같은 부정적인 용어로 인식.
11. 존 듀이
① 철학과 역사적 관점
② 반성적 사고의 단계 , How We Think, 1933
n 제안(Suggestion) : 불완전한 상황으로 인한 의구심 상태.
n 개념화(Intellectualization) : 문제의 개념화
n 아이디어 유도(Guiding Idea) : 일시적인 해석.
n 추론(Reasoning) : 보다 정확한 사실에 의한 해석.
n 행동(Action) : 명확하거나 가상적인 행동에 의한 검증.
12. 조지 켈리
① 심리적 관점
② 구성의 5단계
n 혼동과 의구심: 새로운 경험
n 혼동과 가능한 위협 정리 : 불일치/부조화 정보.
n 일시적인 가설 설정 : 탐구 방향 설정.
n 검증 및 평가 : 실행 결과 평가.
n 재구성 : 새로운 구성체계 동화.
13. 브루너
① 현재의 관점
② 해석적 과업
n 지각 : 새로운 정보에 직면
n 선택 : 패턴 인식
n 추론 : 군집화 혹은 범주로 결합
n 예측 : 주어진 정보 초월
n 행동 : 정신적 산물 창조
③ 스키마
n 스키마란 개개인이 실질적인 증거를 초월하여 의미의 격차를 줄이고, 이미 아는 사실로부터 추정할 수 있도록 과거에 직면했던 자료의 재구성을 유도하는 과거의 경험과 행동에 대한 통합적이고 조직화된 표상이다
14. 패러다임의 변화 요인
① 패러다임의 변화는 놀라움, 혼동 그리고 분열을 야기하는 대량의 유일성 정보가 통합되는 경우에 발생한다. - 토마스 쿤.
15. 적합성과 적절성
① 적합성
n 적합정보 : 연구 과제와 관련되어 있으며, 정보탐색에 있어서 유용한 것으로 판단되는 정보.
n 부적합정보 : 해당 논제와 일치하지 않거나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 정보. 주제 이외의 정보라 할 수 있으며, 정보 탐색에 유용하지 않은 것.
② 적절성
n 정보가 적합하다기 보다는 주제에 어느 정도 결정력이 있으며, 어느 정도로 관련성이 있는가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기준. 개인적인 정보 요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.
16. 논제와 초점에 대한 결정 기준 4가지
① 개인적인 흥미와 관심
② 연구과제의 요구조건
③ 정보의 입수가능성
④ 할당된 시간
17. 정보탐색의 태도
① 수용적(invitational) : 개방적인 탐색을 촉진시키며, 새로운 정보를 수용할 수 있는 자세를 갖게 함.
② 지시적(indicative) : 탐색 완료단계를 향해 진행하도록 하는 자세를 갖게 함.
18. 가설 설정(Hypothesis)
① 수용적 태도에 의한 가설은 사실로서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마치 사실인 것처럼 일정 기간 지지할 수 있도록 비현실적인 결론을 제공하는 것.
② 불확실성을 극복하고 혼동과 의구심 그리고 위협감을 해소하는 방법.
19. 예측과 선택
① 예측은 구성체계를 확신하거나 거절하는 행동을 유도한다. 인간은 외부세계와 잘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자신의 구성체계를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재구성한다. 예측의 정확성은 행동으로 인한 효과를 결정짓는다. 구성체계의 재구성을 통하여 예측을 변화시키며, 이로 인한 행동 또한 변화가 일어난다.
20. 정보탐색도구 로써의 검색엔진과 소셜미디어
① 검색엔진(Goolge)
n 서지적 패러다임
n 정확도(Precision)과 재현율(Recall)이 최우선 키워드
n 초점형성이 되어 있음의 가정하에 수집(gathering)과 완성(completing) 과업 수행
n 인지부조화
일상적인 정보요구에 초점이 형성 되어 있는 경우는 드물다.
② 소셜미디어(Twitter)
n 구성과정 패러다임
n 정보요구, 사적무지 지각, 초점형성을 도와주는 도구
### 끝.